https://www.acmicpc.net/problem/16236
문제
N×N 크기의 공간에 물고기 M마리와 아기 상어 1마리가 있다. 공간은 1×1 크기의 정사각형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한 칸에는 물고기가 최대 1마리 존재한다.
아기 상어와 물고기는 모두 크기를 가지고 있고, 이 크기는 자연수이다. 가장 처음에 아기 상어의 크기는 2이고, 아기 상어는 1초에 상하좌우로 인접한 한 칸씩 이동한다.
아기 상어는 자신의 크기보다 큰 물고기가 있는 칸은 지나갈 수 없고, 나머지 칸은 모두 지나갈 수 있다. 아기 상어는 자신의 크기보다 작은 물고기만 먹을 수 있다. 따라서, 크기가 같은 물고기는 먹을 수 없지만, 그 물고기가 있는 칸은 지나갈 수 있다.
아기 상어가 어디로 이동할지 결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 더 이상 먹을 수 있는 물고기가 공간에 없다면 아기 상어는 엄마 상어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 먹을 수 있는 물고기가 1마리라면, 그 물고기를 먹으러 간다.
- 먹을 수 있는 물고기가 1마리보다 많다면, 거리가 가장 가까운 물고기를 먹으러 간다.
- 거리는 아기 상어가 있는 칸에서 물고기가 있는 칸으로 이동할 때, 지나야하는 칸의 개수의 최솟값이다.
- 거리가 가까운 물고기가 많다면, 가장 위에 있는 물고기, 그러한 물고기가 여러마리라면, 가장 왼쪽에 있는 물고기를 먹는다.
아기 상어의 이동은 1초 걸리고, 물고기를 먹는데 걸리는 시간은 없다고 가정한다. 즉, 아기 상어가 먹을 수 있는 물고기가 있는 칸으로 이동했다면, 이동과 동시에 물고기를 먹는다. 물고기를 먹으면, 그 칸은 빈 칸이 된다.
아기 상어는 자신의 크기와 같은 수의 물고기를 먹을 때 마다 크기가 1 증가한다. 예를 들어, 크기가 2인 아기 상어는 물고기를 2마리 먹으면 크기가 3이 된다.
공간의 상태가 주어졌을 때, 아기 상어가 몇 초 동안 엄마 상어에게 도움을 요청하지 않고 물고기를 잡아먹을 수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공간의 크기 N(2 ≤ N ≤ 2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공간의 상태가 주어진다. 공간의 상태는 0, 1, 2, 3, 4, 5, 6, 9로 이루어져 있고, 아래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 0: 빈 칸
- 1, 2, 3, 4, 5, 6: 칸에 있는 물고기의 크기
- 9: 아기 상어의 위치
아기 상어는 공간에 한 마리 있다.
출력
첫째 줄에 아기 상어가 엄마 상어에게 도움을 요청하지 않고 물고기를 잡아먹을 수 있는 시간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3
0 0 0
0 0 0
0 9 0
예제 출력 1
0
예제 입력 2
3
0 0 1
0 0 0
0 9 0
예제 출력 2
3
예제 입력 3
4
4 3 2 1
0 0 0 0
0 0 9 0
1 2 3 4
예제 출력 3
14
예제 입력 4
6
5 4 3 2 3 4
4 3 2 3 4 5
3 2 9 5 6 6
2 1 2 3 4 5
3 2 1 6 5 4
6 6 6 6 6 6
예제 출력 4
60
예제 입력 5
6
6 0 6 0 6 1
0 0 0 0 0 2
2 3 4 5 6 6
0 0 0 0 0 2
0 2 0 0 0 0
3 9 3 0 0 1
예제 출력 5
48
예제 입력 6
6
1 1 1 1 1 1
2 2 6 2 2 3
2 2 5 2 2 3
2 2 2 4 6 3
0 0 0 0 0 6
0 0 0 0 0 9
예제 출력 6
39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N;
static int[][] map;
static int[][] tmpMap;
static ArrayList<ArrayList<int[]>> fishList;
static ArrayList<int[]> canEatFishList;
static int[] shark;
static int sharkSize;
static int eating;
static int time;
private static boolean play() { // 상어가 물고기를 먹으러 가는 매소드
// 상어가 먹을 수 있는 물고기 개수 구하기
canEatFishList = new ArrayList<>(); // 상어가 먹을 수 있는 물고기 리스트
int bound = Math.min(7, sharkSize);
for (int i = 1; i < bound; i++) { // 상어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물고기 리스트 중에서
for (int j = 0; j < fishList.get(i).size(); j++) {
int[] fish = fishList.get(i).get(j);
if(map[fish[0]][fish[1]] == i) { // 아직 살아 있다면 상어가 먹을 수 있는 물고기 리스트에 담아줌
canEatFishList.add(fish); // [x좌표, y좌표]
}
}
}
if(canEatFishList.size() == 0) { // 더 이상 먹을 수 있는 물고기가 없는 경우
return false;
}
else { // 먹을 수 있는 물고기가 있는 경우
return eatFish();
}
}
private static boolean eatFish() { // 어느 물고기를 먹을 건지 고르고 잡아먹기
// 현재 상어 위치에서 갈 수 있는 각 자리 별 거리 구하기
getDistance();
int minDis = N * N; // 현재 상어가 잡아 먹으러 갈 수 있는 물고기 중 가장 가까운 거리
int[] eatfishInfo = {-1, -1}; // 상어가 잡아 먹을 물고기 정보
for (int i = 0; i < canEatFishList.size(); i++) {
int[] fish = canEatFishList.get(i);
if(tmpMap[fish[0]][fish[1]] > 1) {
if(tmpMap[fish[0]][fish[1]] == minDis) { // 최소 거리가 같으면
if(eatfishInfo[0] == fish[0]) { // 같은 row에 있으면
if(eatfishInfo[1] > fish[1]) { // 가장 왼쪽에 있는 물고기를 골라준다.
eatfishInfo = fish;
}
}
else if(eatfishInfo[0] > fish[0]) { // 더 위에 있다면
eatfishInfo = fish;
}
}
else if(tmpMap[fish[0]][fish[1]] < minDis) { // 거리가 더 짧은 경우
minDis = tmpMap[fish[0]][fish[1]];
eatfishInfo = fish;
}
}
}
if(eatfishInfo[0] != -1) { // 물고기를 먹으러 갈 수 있다면
map[eatfishInfo[0]][eatfishInfo[1]] = 9; // 원래 물고기가 있던 곳은 상어가 오게 되고
map[shark[0]][shark[1]] = 0; // 원래 상어가 있던 곳은 빈칸이 됨
shark = eatfishInfo; // 상어 위치 수정
time += minDis -1; // 시간 추가해주고
eating++; // 먹은 물고기 수 추가
if(eating == sharkSize) { // 상어 크기와 같은 수의 물고기를 먹으면 크기 증가
eating = 0;
sharkSize++;
}
return true;
}
else return false;
}
private static void getDistance() { // 상어 위치에서 각 인덱스에 가기 위해 걸리는 거리 구하기
tmpMap = new int[N][N];
tmpMap[shark[0]][shark[1]] = 1;
Queue<int[]> q = new LinkedList<>();
q.add(shark);
// 상하좌우
int[] dx = {-1, 1, 0, 0};
int[] dy = {0, 0, -1, 1};
while(!q.isEmpty()) {
int[] point = q.poll();
for (int i = 0; i < 4; i++) { // 사방탐색
int nx = point[0] + dx[i];
int ny = point[1] + dy[i];
if(nx >= 0 && nx < N && ny >= 0 && ny < N) { // 범위 체크
if(tmpMap[nx][ny] == 0 && map[nx][ny] <= sharkSize) { // 아직 방문한 적 없고, 상어가 지나갈 수 있는 길일 때만
tmpMap[nx][ny] = tmpMap[point[0]][point[1]] + 1;
q.add(new int[] {nx, ny});
}
}
}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입력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map = new int[N][N]; // 공간의 상태
fishList = new ArrayList<>(); // 물고기 정보
shark = new int[2]; // 상어 정보
for (int i = 0; i <= 6; i++) { // 1~6 크기의 물고기 정보를 넣기 위한 ArrayList 선언
fishList.add(new ArrayList<>());
}
for (int i = 0; i < N;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 (int j = 0; j < N; j++) {
map[i][j]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f(map[i][j] >= 1 && map[i][j] <= 6) { // 물고기라면
fishList.get(map[i][j]).add(new int[] {i, j}); // [x좌표, y좌표]
}
else if(map[i][j] == 9) { // 상어라면
shark[0] = i;
shark[1] = j;
}
}
}
sharkSize = 2; // 처음 아기 상어의 크기는 2
// 더 이상 먹을 수 있는 물고기가 없을 때까지 물고기 먹기
while(play());
// 출력
System.out.println(time);
}
}
'Problem Solving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BOJ 16234] 인구 이동 (java) (1) | 2023.03.11 |
---|---|
[백준, BOJ 2109] 순회강연 (java) (0) | 2023.03.11 |
[백준, BOJ 7569] 토마토 (java) (0) | 2023.03.11 |
[백준, BOJ 17472] 다리 만들기 2 (java) (0) | 2023.03.06 |
[백준, BOJ 3954] Brainf**k 인터프리터 (java) (0) | 2023.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