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https://www.acmicpc.net/problem/18866
18866번: 젊은 날의 생이여
욱제의 젊은 날이 될 수 있는 최대 기간, 즉 문제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최대의 1 ≤ K < N을 출력한다. 단, 이러한 K가 없을 경우, -1을 출력한다.
www.acmicpc.net
728x90
메모리: 280,816 KB , 시간: 776 ms
사용 알고리즘: Prefix min/max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 * 1~K 구간의 최소 행복도 > K+1~N 구간의 최대 행복도 * 1~K 구간의 최대 피로도 < K+1~N 구간의 최소 피로도 * 이를 만족하는 K를 찾으면 된다. * * u,v가 0인 경우에는 항상 최선의 선택지를 선택해주면 된다. * 최선의 선택지란 * 1~K 구간의 최소 행복도를 낯추지 않고, K+1~N 구간의 최대 행복도를 높이지 않는 것. * 1~K 구간의 최대 피로도를 높이지 않고, K+1~N 구간의 최소 피로도를 낮추지 않는 것. * 이를 위해서 0이 나온 경우 구간 최소,최대값을 구할 때 이전 구간의 최소최대값을 그대로 사용한다.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final int MAX = 1_000_000_001; final int MIN = -1;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t[][] arr = new int[N + 1][2]; int[] minHappyLeft = new int[N + 2]; // 구간 1 ~ index의 최소 행복도 int[] maxHappyRight = new int[N + 2]; // 구간 index ~ N의 최대 행복도 int[] maxFatigueLeft = new int[N + 2]; // 구간 1 ~ index의 최대 피로도 int[] minFatigueRight = new int[N + 2]; // 구간 index ~ N의 최소 피로도 minHappyLeft[0] = MAX; maxHappyRight[N + 1] = MIN; maxFatigueLeft[0] = MIN; minFatigueRight[N + 1] = MAX; for (int i = 1; i <= N;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arr[i][0] = Integer.parseInt(st.nextToken()); arr[i][1]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구간 1 ~ i까지의 최소 행복도 구하기 if(arr[i][0] != 0) minHappyLeft[i] = Math.min(minHappyLeft[i - 1], arr[i][0]); else minHappyLeft[i] = minHappyLeft[i - 1]; // 구간 1 ~ i까지의 최대 피로도 구하기 if(arr[i][1] != 0) maxFatigueLeft[i] = Math.max(maxFatigueLeft[i - 1], arr[i][1]); else maxFatigueLeft[i] = maxFatigueLeft[i - 1]; } // 구간 i ~ N까지의 행복도, 피로도 최소 최대 구하기 for (int i = N; i >= 1; i--) { // 구간 i ~ N까지의 최대 행복도 구하기 if(arr[i][0] != 0) maxHappyRight[i] = Math.max(maxHappyRight[i + 1], arr[i][0]); else maxHappyRight[i] = maxHappyRight[i + 1]; // 구간 i ~ N까지의 최소 피로도 구하기 if(arr[i][1] != 0) minFatigueRight[i] = Math.min(minFatigueRight[i + 1], arr[i][1]); else minFatigueRight[i] = minFatigueRight[i + 1]; } // 뒤에서부터 만족하는 K 찾기 for (int i = N - 1; i >= 1; i--) { // 1 ~ i년까지의 최소 행복도가 i+1 ~ N년의 최대 행복도보다 커야하며, // 1 ~ i년까지의 최대 피로도가 i+1 ~ n년의 최소 피로도보다 작아야 한다. if(minHappyLeft[i] >= maxHappyRight[i + 1] && maxFatigueLeft[i] <= minFatigueRight[i + 1]) { System.out.println(i); return; } } // 찾지 못한 경우 System.out.println(-1); } }
내 생각
u, v에 0 값이 들어왔을 때 최소,최대값을 MAX
, MIN
값으로 바꿔주는 경우도 내 생각으로는 맞는 거 같은데 76%에서 틀린다.
또 마지막 K를 구할 때 왜 이분 탐색으로 풀면 76%에서 틀리는지 모르겠다.
도대체 반례가 뭘까...
728x90
'Problem Solving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BOJ 1766] 문제집 (java) (0) | 2024.02.04 |
---|---|
[백준, BOJ 17396] 백도 (java) (1) | 2024.02.04 |
[백준, BOJ 4386] 별자리 만들기 (java) (0) | 2024.02.04 |
[백준, BOJ 18114] 블랙 프라이데이 (java) (0) | 2024.02.03 |
[백준, BOJ 19542] 전단지 돌리기 (java) (1) | 2024.01.24 |